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아웃 4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DLC === 폴아웃 4의 DLC는 총 6개로 2개의 스토리 DLC와 4개의 추가 요소 DLC가 있다. 여기에 고해상도 텍스쳐 팩을 무료로 배포한다. 기존 시즌패스에서 추가된 DLC는 워크샵 DLC 2개와 누카 월드다. 모드로 충분히 구현 가능한 워크샵 기능을 DLC로 팔아먹는다는 비판 여론이 거셌다. 파 하버나 오토매트론 같은 DLC는 매력적으로 느껴지지만, 워크샵같은 DLC는 전혀 매력적이지 않고 별 쓸모도 없다. 물론 볼트 건설이나 엘레베이터는 흥미를 가질수도 있겠지만 이는 워크샵이 나오기 한참 전에 이미 모드로 제작된 컨텐츠들이다. 모드보다는 제작사 공식 DLC 쪽이 그래도 충돌면에서 훨씬 안정적이지만 기존의 빌리징을 보강할 뿐 실질적으로 새로운 컨텐츠는 아무것도 추가하지 않는다는게 불만사항의 요점.[* 애당초부터 부가적이며 일부분인 기능이라고 공언한 사람이 다름아닌 토드 하워드다. 공들여서 만든 컨텐츠이긴 하지만 게임의 전부를 차지하진 않을 것이며 유저의 선택에 따라 넘어갈 수 있다고 한 부분이 빌리징인 것이다. 그런데도 워크샵 시리즈를 줄창 발매한 것은 작게는 유저에게 빌리징이라는 특정 컨텐츠를 강요하는 압박이자 게임의 부실한 컨텐츠를 얼버무리려 하는 요식 행위이며, 크게는 시즌패스 60달러 어치를 후려치기 위한 면피성 행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선에서 예시로 사용되며 털리는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허스파이어|허스파이어]]조차도 새로운 공식 컨텐츠를 추가한 DLC라는 점을 고려해보자면 워크샵 시리즈가 그 이상으로 욕먹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셈이다. 차라리 30달러짜리 시즌패스를 두개로 나눠서 오토매트론, 파 하버, 누카월드 같은 스토리 DLC와 워크샵 DLC를 나눠서 냈으면 욕을 덜 먹었을꺼란 의견도 존재한다. 스카이림 시절이라면 콘솔판에 모드를 적용 못해 DLC로 추가했다고 변명이라도 할 수 있었지, 이미 베데스다가 직접 콘솔에 모드 적용을 하고 있어서 이런 상황을 옹호해줄 꺼리가 없다. DLC 평가는 오토매트론, 파 하버, 누카 월드 정도만 돈값을 한다는게 중론이고[* 이마저도 오토매트론은 스토리가 짧아 평이 박하다.] 워크샵 DLC들은 전부 돈값을 못한다는 평가가 대세다. 그나마 볼트-택 워크샵이 제일 나은 편 이라고 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즌패스를 제 값 주고 사는거보다 원하는 DLC를 따로 구매하거나 [[G2A]]같은 리셀러 사이트에서 매우 저렴하게 구매하는게 훨신 이득이다. 다만 리셀러를 통해서 구입한 DLC는 스팀 라이브러리에 제대로 등록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고객센터에 구매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면 등록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오토메트론+파하버+누카월드 DLC를 따로 구매하면 시즌패스보다 값이 더 나오니 이 셋을 구매 할 생각이라면 시즌패스를 구매하는게 더 이득이다. '''현재는 DLC발매가 모두 끝나고 전부 포함된 GOTY 번들이 나왔기 때문에''' DLC가성비 따질 것 없이 할인할 때 이거 하나만 구입하면 깔끔하다. 덤으로 스카이림 고티 에디션도 준다. 2017년 2월에 고해상도 텍스쳐 팩이 무료로 발매되었으나 실제로 그다지 바뀐 것 없는 텍스쳐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은 GTX 1080이라는 요구사양과 엄청난 용량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https://youtu.be/YjVU91QEifk|울트라옵 VS 고해상도 텍스처 적용 비교 영상.]] 농담이 아니라 약간 더 텍스처가 부드러워진 것 외에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또한 사양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프레임 드랍과 잔끊김이 생긴다. 폴아웃 4의 경우, 텍스쳐 압축이 비효율적이며, 일부 텍스쳐 파일이 필요 이상으로 용량이 커서 그래픽 메모리/대역폭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는데, 고해상도 텍스쳐 팩에서는 이러한 문제 더 커지기 때문이다. 때문에 그래픽 메모리가 부족해져서 프레임이 급락하거나, 그래픽 메모리 대역폭이 부족해 프레임은 좋아도 잔끊김이 생기게 된다.[* 스카이림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있어서, 모더들이 바닐라 텍스쳐의 압축 효율을 개선한 텍스쳐 모드를 만들기도 했다.[[https://www.nexusmods.com/skyrim/mods/57353/|#]]] 사양이 안 된다면 [[https://www.nexusmods.com/fallout4/mods/25714|Vivid Fallout]]같은 [[폴아웃 4/모드/환경|고퀄 모드]]를 깔고 하는 게 더 나을 지경이다. 텍스쳐 모드의 경우, 텍스쳐 퀄리티는 높아도 효율적으로 텍스쳐 압축을 해놓은 경우가 많아, 고해상도 텍스쳐 팩보다 퀄리티도 높으면서, 프레임도 더 잘나오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GTX970 기준 고해상도 텍스쳐 팩을 깔고 콩코드 전투시 20프레임까지 드랍하는 구간에서, Vivid Fallout의 Best Choice로 교체 후 같은 옵션으로 90프레임대가 나온다.[* 단, 개인이 만든 비공식인 만큼 들어간 텍스쳐 용량 대비 최적화, 특히 로딩 속도는 공식 고해상도 텍스쳐 팩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공식 고해상도 텍스쳐 팩이 기존 텍스쳐의 해상도만 무식하게 올려대서 사양을 제외하고는 실 체감이 될만한 부분이 적은 반면에, 모드는 메쉬 등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바꿔서 체감은 오히려 좋은 데다가 여러 가지 사양을 위한 다양한 옵션들을 준비해놔서 기본 게임 최하옵도 못 돌릴 정도의 똥컴만 아니면 어떻게든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백인 캐릭터들의 얼굴 색깔이 갈색으로 변해버리는 버그까지 겹쳐 유저들에게는 버그 없이 내지도 못하냐며 온갖 조롱을 들었다. 출시된 지 수 주가 지났는데도 이 검은 얼굴 버그는 공식적으로 고쳐지지 않아 악평을 늘리는데 한몫했다. [[https://www.nexusmods.com/fallout4/mods/21956/|외모 버그 픽스 모드.]] 백인들의 얼굴이 갈색으로 변하는 버그를 가지고 [[정치적 올바름]]과 엮어서 조롱하는 게이머들도 있을 정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